플러스사통팔달

사물 인터넷 IOT 이란? 의미와 사례 본문

유통 마케팅

사물 인터넷 IOT 이란? 의미와 사례

야글미라 2018. 2. 4. 15:34

사물 인터넷 IOT 이란? 

사물인터넷의 의미와 사례



사물인터넷의 의미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약어로 IoT)은  
각종 사물에 센서와 통신 기능을 내장하여 

인터넷에 연결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인터넷으로 연결된 사물들이 데이터를 주고받아  
스스로 분석하고 학습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거나  
사용자가 이를 원격 조정할 수 있는 인공지능 기술이다. 

여기서 사물이란  
가전제품, 모바일 장비, 웨어러블 컴퓨터 등  
다양한 임베디드 시스템이 된다.  
사물 인터넷에 연결되는 사물들은 자신을 구별할 수 있는  
유일한 아이피를 가지고 인터넷으로 연결되어야 하며,  
외부 환경으로부터의 데이터 취득을 위해 센서를 내장할 수 있다. 
모든 사물이 해킹의 대상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사물 인터넷의 발달과 보안의 발달은 함께 갈 수밖에 없는 구조이다. 

정보 기술 연구 및 자문 회사 가트너에 따르면  
2009년까지 사물 인터넷 기술을 사용하는 사물의 개수는 9억 개였으나  
2020년까지 이 수가 260억 개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같이 많은 사물이 연결되면  
인터넷을 통해 방대한 데이터가 모이게 되는데,  
이렇게 모인 데이터는 기존 기술로 분석하기 힘들 정도로 방대해진다.  
이것을 빅 데이터라고 부른다.  
따라서 빅 데이터를 분석하는 효율적인 알고리즘을 개발하는  
기술의 필요성이 사물 인터넷의 등장에 따라 함께 대두되고 있다. 



사물 인터넷의 사례 

개인 부문 

차량을 인터넷으로 연결하여 안전하고 편리한 운전을 돕는다.  
심장박동, 운동량 등의 정보를 제공하여 개인의 건강을 증진시킨다.  
주거환경을 통합 제어할 기술을 마련하여  
생활 편의를 높이고 안전성을 제공한다.  
한국에서는 삼성이나 LG 등에서 

사물 인터넷 기술을 사용한 스마트 홈을 출시하였다. 

버섯 재배농가 모니터링 
다양한 센서 및 액츄에이터를 통해 

공장형 시설하우스 내 환경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제어함으로써 작물의 생육환경을 최적으로 유지,  
수확량 증대 및 수확물 품질 향상에 기여 


산업 부문 

공정을 분석하고 시설물을 모니터링하여 

작업 효율과 안전을 제고한다.  
생산, 가공, 유통부문에 사물 인터넷 기술을 접목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안전유통 체계를 확보한다.  
주변 생활제품에 사물 인터넷을 투입하여 

고부가 서비스 제품을 생산한다. 
넓게는 PDA, 스마트폰, 블루투스 스피커 등 

이미 일상에 보편화된 사물 역시 사례에 포함된다. 

냉동/냉장창고 모니터링 
냉동/냉장창고 및 차량의 내부 보관상태(온도, 습도, CO2 등)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해  저장품 품질을 유지하며,  
공조설비(냉동기, 히팅 설비 등) 상태 모니터링을 통해  
설비의 이상/고장 여부를 실시간으로 관리 

공공 부문 

CCTV, 노약자 GPS 등의 사물 인터넷 정보를 사용해 

재난이나 재해를 예방한다.  
대기 상태, 쓰레기양 등의 정보를 제공받아 환경오염을 최소화한다.  
에너지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에너지 관리 효율성을 증대시킨다. 

요양원/시니어 타운 모니터링 서비스 
시설 내 환경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함으로써 

공간 쾌적도를 향상시키고,  
전력 사용량 관리를 통해 시설 운영 비용을 절감.  
환자들의 위치 및 움직임을 감지함으로써 위험을 사전에 예방 



사업자 정보 표시
사업자 등록번호 : -- | TEL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