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산소벌초하는꿈
- 물을 잘 마시는 방법 5가지
- 절벽이나 낭떠러지에서 떨어지는 꿈
- 페이스북가상화폐광고금지
- 낭떠러지에서떨어지는꿈
- 물고기잡는꿈
- 꿈의원인
- 연예인을 만나는꿈
- 머그컵해외직구
- 이곤충에관한꿈
- 무덤에관한꿈
- 6월뭉게구름
- 뭉게구름철학
- 이에관한꿈
- 박대옥페이스북
- 선물용머그컵
- 바오바오백
- 낚시로물고기잡는꿈
- 덴비머그잔해외직구
- 가수를만나는꿈
- 떡에관한꿈
- 떡먹는꿈
- 여드름에좋은비누
- 6월의하는
- 스타우브냄비해외직구
- 뱀을잡는꿈
- 절벽에서떨어지는꿈
- 뱀에 관한꿈
- 비단 독사 뱀을 잡는꿈
- 물 잘 마시는 방법
- Today
- Total
플러스사통팔달
모바일 상품권의 다양한 진화와 활성화 본문
새로운 트렌드 모바일 상품권의
다양한 진화와 활성화
모바일 상품권의 뉴 트렌드
카카오는 모바일 상품권 시장에서 1위를 차지하면서
2017년에는 1700만 명이 '선물하기'를 이용했다.
네이버도 기프트카드를 선보이면서 치킨·커피 결제도 가능하다.
또한 이제는 설날 같은 명절 전에 구하기 어려운 신권 대신
간편한 모바일 송금도 늘어나는 추세이다.
모바일 상품권 시장의 규모
스마트폰에서 사용하는 모바일 상품권 시장이 급성장하면서
인터넷 기업과 통신 업체가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최근 들어 명절 때 현금 대신
모바일 상품권을 선물로 주는 문화가 번지자
카카오·네이버· SK플래닛 등 모바일 상품권 업체는
다양한 기획 상품과 이벤트를 경쟁적으로 쏟아내고 있다.
백화점 상품권은 물론이고 편의점 상품권, 문화 상품권,
게임 이용권, 케이크 교환권 등을 10~25% 싼값에 내놓거나
결제 시 일정 금액을 돌려주기도 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따르면
국내 모바일 상품권 규모는 작년 1조 원 안팎이었고
오는 2020년에 2조 원을 넘을 것으로 전망된다.
모바일 상품권 시장 현황
현재 국내 모바일 상품권 시장 1위는 카카오다.
카카오는 2014년 4000만 명 이상이 사용하는
모바일 메신저 카카오톡을 기반으로 모바일 상품권 서비스를 출시해
현재 국내 모바일 상품권 시장의 80%를 장악하고 있다.
작년 한 해에만 1700만 명이 카카오의 모바일 상품권을 샀다.
카카오가 진입하기 전 커피 프랜차이즈 업체, 제과 업체 등과 제휴해
모바일 상품권 시장을 양분하고 있던 SK플래닛의 기프티콘과
KT 엠하우스의 기프티쇼는 성장세가 주춤한 상태다.
각종 모바일 상품권을 판매하는
온라인 쇼핑몰도 설 특수를 누리고 있다.
11번가는 작년 설 연휴 기간 모바일 상품권 거래액이
2015년보다 9배 뛰었다.
고객 한 명당 14만 2000원어치의 모바일 상품권을 샀다.
G마켓도 작년 모바일 쿠폰 판매량이 2015년보다 41% 올랐다.
올해는 빵 교환권, 문화 상품권, 외식 상품권이 인기다.
설날 선물을 미리 못 보낸 고객들이 연휴 직전에
모바일 상품권으로 선물을 대신하는 현상도
이제는 흔하게 볼 수 있는 추세이다.
세뱃돈 대체하는 모바일 상품권
모바일 상품권은 세뱃돈이 갖는 화폐 단위와 상관없이
7000~8000원의 소액 상품권에서
3만~4만 원까지 다양한 것도 장점이다.
따라서 이제는 설날 세뱃돈을 위한 은행의 신권 발행도 줄고 있다.
은행 직원의 전언에 의하면,
"작년까지만 해도 설날 직전에는 5만 원 신권이
다 소진돼 구하기 어려웠는데 올해는 찾는 사람이 적어
아직도 한참 남아 있다"고 말했다.
업계에서는 모바일 상품권이 명절뿐만 아니라
생일, 입학·졸업, 밸런타인데이 같은
각종 기념일 선물로도 계속 영역을 확장할 것으로 보고 있다.
앞으로 전화번호만 알면 현금을 보낼 수 있는 모바일 송금도
이런 모바일 상품권과 같은 맥락에서 확산되고 있다.
일상생활에서 현금을 주고받지 않는 문화가 번지면서
모바일 상품권 시장이 계속 커지고 있다.
모바일 상품권은 앞으로 종류와 구매처가 늘어나
각종 기념일이나 받는 사람 취향에 따라
딱 맞춘 모바일 선물로 진화할 것이다.
'유통 마케팅'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상 통화 광고 금지한 페이스 북의 내용 (0) | 2018.02.21 |
---|---|
O2O 유통 마케팅과 빅데이터의 활용! (0) | 2018.02.19 |
T 커머스란, 특징과 현황 & 2018 전망! (0) | 2018.02.14 |
2018 온라인 광고 트렌드 '리타겟팅 광고'! (0) | 2018.02.13 |
집을 꾸미는 방법 인테리어 팁 5가지 (0) | 2018.02.10 |